• Home
  • About
    • JOOS photo

      JOOS

      Joos's blog

    • Learn More
    • Email
    • Github
  • Posts
    • All Posts
    • All Tags
  • Projects

All Posts

  • Serializer/ deserializer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pojo란? JavaBean이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글또 5기 후기(feat. 꾸역꾸역 글쓰기)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왜 elasticsearch는 빠를까?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NoSQL이란? 2탄(NoSQL이란? CAP이론, PACELC)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NoSQL이란? 1탄(NoSQL의 탄생배경: 멀티코어, 빅데이터 환경, 분산 컴퓨팅, 병렬컴퓨팅 방법론)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Kafka(카프카)란?(카프카 소개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HBase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Hbase

    • 분산되고 확장 가능하면서 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관계형 Database
    • 대량의 흩어져 있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무정지 방법을 제공
    • HBase에 있는 테이블들은 하둡에서 동작하는 맵리듀스 작업을 위한 입출력을 제공
    • 빠른 Write와 Read를 지원하며 HMaster(Master Server)와 Regionserver(Slave Server) 로 구성
    • 컬럼식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에 대한 실시간 분석적 접근 기능을 제공하는데 강점이 있지만 Hbase는 특정 데이터 셀에 키 기반으로 접근 하거나 어떤 범위의 셀에 순차적으로 접근하는데 탁월한 성능
    Read More
  • 7주차 과제: 패키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계속 불행하지만은 않았던 2020 후기(feat. ㅋㄹㄴ)

    진짜 올해는… 모두가 우울감 타파를 하려고 애썼던 한해 아닌지? 위기를 기회로 바꾸라니 무슨 말인지.. 위기의 순간에 힘들어 죽겄는데 그걸 발판으로 기회를 삼으라니 무슨 싸이코패스 같은 소리인지 ^ㅆ^ 올해는 코로나와 함께 시작해서 불행해지는 게 꽤 쉬웠다. 그치만 불행하지 않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고, 덕분에 꽤 많은 순간 행복했다.

    Read More
  • 6주차 과제: 상속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3주차 과제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3주차 : 연산자

    Read More
  • 러닝 스칼라 4장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2주차 자바 데이터 타입, 변수 그리고 배열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1주차 과제: JVM은 무엇이며 자바 코드는 어떻게 실행하는 것인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목표

    자바 소스 파일(.java)을 JVM으로 실행하는 과정 이해하기.

    Read More
  • flink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작성중]코스랩 후기 - client vpn


    Read More
  • [글또] 글또 5기 다짐글

    4기 회고

    • 이룬일
      • 잡지에 기고했다.
      • 해커톤에서 기획파트 역할도 맡아서 3등을 했다.
    Read More
  • [ leet_code ] [weekly-contest-208 solution] 1598. Crawler Log Folder, 1599. Maximum Profit of Operating a Centennial Wheel with python3

    1598. Crawler Log Folder

    Read More
  • [leet_code] 3. Longest Substring Without Repeating Characters with python3

    문제: https://leetcode.com/problems/longest-substring-without-repeating-characters/

    brute force

    Read More
  • meeting-rooms-ii solution

    목표:

    조건:

    solution 설명 :

    Read More
  • (in progress)rainbow table attack

    rainbow table attack

    • Why this attack is born? because hash have no decryption algorithm. so just compare hash value and anticipate decrypted password. so this is need to beforehand attack first, and make dictionary table for searching password.
    Read More
  • [백준] 11003번 : 최솟값 찾기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003

    Read More
  • how to make tolerance server to handle millions of requests per second?

    1. Comprehension of requirements

    We should be considered how much traffic is sustained for a long time, how many requests should be processed at a time (throughput), and how much hardware resources should be consumed per request. How high availability is required, etc. Accordingly, the design of the system will be changed for a bit.But according to question, I will focus on the system to create a tolerance system in terms of each layers of system.

    Read More
  • how to prevent brute force attack?

    What is a brute-force attack?

    Read More
  • AVL Tree WITH PYTHON3

    What is an AVL tree?

    AVL trees are named for the prefix alphabet of the people who wrote the first paper on them. The purpose of an AVL tree is to maintain the balance of a BST.

    Read More
  • [ leet_code ] [weekly-contest-197 solution] Number of Good Pairs, Number of Substrings With Only 1s, Path with Maximum Probability

    문제 : https://leetcode.com/contest/weekly-contest-197/

    Read More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4단원 정리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 leet_code ] weekly-contest-196 solution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백준] 17299번 : 오등큰수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7299
    -> 히스토그램 문제의 기초문제
    스택으로 푸는 문제

    Read More
  • [백준] 17298번 : 오큰수 with python3

    문제 : http://acmicpc.net/problem/17298

    Read More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3단원 정리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백준] 2606번 : 바이러스 with python3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2606

    Read More
  • [ leet_code ] [weekly-contest-194 solution] XOR Operation in an Array, Making File Names Unique

    문제 : https://leetcode.com/contest/weekly-contest-194

    Read More
  • [백준] 10845번 : 큐 with python3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0845

    Read More
  • [백준] 1717번 : 집합의 표현 with python3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717

    Read More
  • [leet_code] Weekly Contest 193 (Running Sum of 1d Array, Least Number of Unique Integers after K Removals) with python3

    1480. Running Sum of 1d Array

    문제 : https://leetcode.com/contest/weekly-contest-193/problems/running-sum-of-1d-array/

    Read More
  • [백준] 9012번 : 괄호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9012

    Read More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2단원 정리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AWS certificated associate

    목표:

    조건:

    solution 설명 :

    Read More
  • [leet_code] Weekly Contest 191 in Maximum Product of Two Elements in an Array and Maximum Area of a Piece of Cake After Horizontal and Vertical Cuts with python3

    1464. Maximum Product of Two Elements in an Array

    문제 : https://leetcode.com/contest/weekly-contest-191/problems/maximum-product-of-two-elements-in-an-array/

    Read More
  • SQRT Decomposition이란?

    Square Root Decomposition을 사용할 때는?

    검색을 할 때 빠르게 검색을 하기 위해 구간을 나눈 후 찾을 때 많이 사용된다. 사실 Segment Tree를 사용하면 유사한 기능을 O(log N)이라는 훌륭한 시간내에 수행해낼 수 있다. 하지만 SQRT Decomposition는 Mo’s Algorithm의 기반이기에 다음을 생각하고 글을 쓴다.

    Read More
  • RDS와 EC2의 VPC를 분리해서 네트워크를 구성 하는 이유 (feat. VPC Peering, Client VPN)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Internet을 연결하기 위한 과정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VPN이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백준] 5585 : 거스름돈 with python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5585

    Read More
  • 왜 public과 private으로 subnet을 나누어야 할까요?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VPN Peer connection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RDS와 EC2의 VPC를 분리해서 네트워크를 구성 하는 이유 (feat. VPC Peering, Client VPN)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leet_code] 202. Happy Number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explore/featured/card/30-day-leetcoding-challenge/528/week-1/3284/ https://leetcode.com/problems/happy-number/

    Read More
  • 2019_Round_A Training solution

    문제 링크 : 2019_Round_A_1_Training

    Read More
  • open vpn endpoint aws console로 사용해보기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AWS는 OpenVPN 기반 클라이언트를 통해 어디서든 AWS 및 온프레미스 기반 네트워크에 안전하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작년에 AWS Client VPN을 시작했습니다. AWS Client VPN은 수요에 따라 연결 수를 탄력적으로 늘리거나 줄이는 완전 관리형 VPN 서비스입니다.

    Read More
  • [영화]1917을 보고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글또 4기 다짐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 leet_code ] [weekly-contest-174 solution] The K Weakest Rows in a Matrix, Reduce Array Size to The Half, Maximum Product of Splitted Binary Tree, Jump Game V

    1. The K Weakest Rows in a Matrix

    Read More
  • 2020년 1/4분기 계획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leet_code] 1291. Sequential Digits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contest/weekly-contest-167/problems/sequential-digits/

    Read More
  • [leet_code] 1290. Convert Binary Number in a Linked List to Integer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contest/weekly-contest-167/problems/convert-binary-number-in-a-linked-list-to-integer/

    Read More
  • 2019년 회고

    10,11,12 을 회고하고 계획하는 글을 쓰다가… 그만 12월이 되버렸다.
    너무 정신없이 지나갔다. 독일도 갔다오고, 할아버지가 돌아가시고…
    그래서 요즘 번아웃이 좀 오는 것 같기도 하다(?)

    Read More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1단원 정리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leet_code] 654. Maximum Binary Tree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problems/maximum-binary-tree/

    Read More
  • [leet_code] 1130. Minimum Cost Tree From Leaf Values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problems/minimum-cost-tree-from-leaf-values/

    Read More
  • JWT란? JWT인증방식이란? 세션이란? 세션인증방식이란? JWT와 세션의 차이?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JWT와 세션이 나온 이유?

    Read More
  • [sort 시리즈 3탄] 힙정렬(heap sort) with python3

    이 컨텐츠는 시리즈물입니다.

    Read More
  • (작성중)heap이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leet_code] 1162. As Far from Land as Possible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problems/as-far-from-land-as-possible/

    Read More
  • graph 그리고 DFS(깊이 우선 탐색), BFS(넓이 우선 탐색)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BST(binary search tree)란? 이진 트리가 BST인지 확인하는 법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how to created https?, http vs https

    What is HTTPS?

    What is the security weakness of HTTP??

    Since HTTP is based on plain text data, sensitive information such as user information is exposed on the Internet. Also, since it is connectless which is a big feature of http,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client. This allows for a man-in-the-middle attack. One way to prevent this is https.

    Read More
  • http의 개념, https가 생긴 이유, http와 https의 차이

    https를 알기 앞서 http를 먼저 설명 고!

    Read More
  • (2018년)KAKAO BLIND RECRUITMENT 실패율 정답

    목표:

    • 실패율(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 /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을 높은 스테이지부터 내림차순으로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겨있는 배열을 구하라.
    Read More
  • [leet_code] 22. Generate Parentheses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problems/generate-parentheses/

    Read More
  • [leet_code] 134. Gas Station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problems/gas-station/submissions/

    Read More
  • [leet_code] 55. Jump Game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problems/jump-game/

    Read More
  •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session and cookies(feat. token)

    What we first notice is Why we are using session/cookies. That’s because http is stateless. So we don’t know requester and previous user’s state.

    Read More
  • [leet_code] 287. Find the Duplicate Number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problems/find-the-duplicate-number/

    Read More
  • Process vs Thread

    Process vs Thread

    Read More
  • (작성중)[백준] 10971 : 외판원 순회 2 with python3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0971

    Read More
  • [백준] 10819 : 차이를 최대로 with python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0819

    Read More
  • [leet_code] 222. Count Complete Tree Nodes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problems/count-complete-tree-nodes/

    Read More
  • [leet_code] 179. Largest Number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problems/largest-number/

    Read More
  • [leet_code] 17. Letter Combinations of a Phone Number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problems/letter-combinations-of-a-phone-number/

    Read More
  • [sort 시리즈 2탄] 삽입정렬(insertion sort) with python3

    이 컨텐츠는 시리즈물입니다.

    Read More
  • [leet_code] 300. Longest Increasing Subsequence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problems/longest-increasing-subsequence/

    Read More
  • [leet_code] 5. Longest Palindromic Substring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problems/longest-palindromic-substring/

    Read More
  • [leet_code] 842. Split Array into Fibonacci Sequence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problems/split-array-into-fibonacci-sequence/

    Read More
  • What is CORS?

    Goal

    •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CORS
    • How to get permission to access the CORS’s mechanism
    Read More
  • [leet_code] 395. Longest Substring with At Least K Repeating Characters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problems/repeated-dna-sequences/

    Read More
  • [leet_code] 395. Longest Substring with At Least K Repeating Characters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problems/longest-substring-with-at-least-k-repeating-characters/

    Read More
  • [leet_code] 200. Number of Islands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problems/number-of-islands/

    Read More
  • [leet_code] 19. Remove Nth Node From End of List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problems/remove-nth-node-from-end-of-list/

    목표:

    • 주어진 index의 node를 제외하고 잇는다.

      조건:

    • … 없다.
    Read More
  • [JPA] Proxy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N+1문제 시리즈 1편] N+1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사전개념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leet_code] Rotate Image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problems/rotate-image/

    Read More
  • [leet_code] Set Matrix Zeroes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problems/set-matrix-zeroes/

    목표:

    matrix의 값에 0이 있으면 그 곳에 해당되는 행,열을 쫙 다 0으로 만든다.

    Read More
  • [leet_code] Search in Rotated Sorted Array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problems/add-two-numbers/

    Read More
  • [1편] 트랜잭션 (트랜잭션의 정의, 대상, Lock, ACID, Isolation Level)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 글은 시리즈물 입니다.

    • [1편] 트랜잭션 (트랜잭션의 정의, 대상, ACID)
      • https://joosjuliet.github.io/transaction/
    • (작성중)[2편] DB에서의 트랜잭션(제어어(TCL)[COMMIT, ROLLBACK, SAVEPOINT], mysql에서의 트랜잭션)
      • https://joosjuliet.github.io/tcl/
    • (작성중)[3편] SPRING에서의 트랜잭션(jpa에서 transaction이란)
      • https://joosjuliet.github.io/jpa_transaction/

    Read More
  • Title

    목표:

    조건:

    solution 설명 :

    Read More
  • 글또 3기 다짐글

    글또덕후

    글또 1기, 2기에 이어 3기까지 다짐글을 쓰다니… 나의 종특은 “무엇이든 꾸준히 하는 것을 잘 못한다”인데…
    “한번 빠지면 무엇이든 쉽게 나오지 않는다”는 종특에 걸려있나보다.

    Read More
  • onetomany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Title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spring_structure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dto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builder는 어떤 때 쓰는 것일까?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Disadvantages of the Builder pattern include:

    Read More
  • [작성중] service layer에서 interface 작성해야하는 이유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Title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java

    Read More
  • Test

    카카오뱅크에 입사해 많은 성장을 한 후에는 혁신을 잘 이루기 위한 설계를 하는 사람이고싶습니다. 그래서 저는 설계에 대한 실력을 더 많이 키울 것이고, 이 회사에 들어갈 행운이 주어진다면 그들의 행동력에 엔진이 되어주는 개발자가 될 것입니다.

    Read More
  • (작성중)객체지향설계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객체지향 설계

    Read More
  • many to many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작성중)[legacy 환경설정으로 얻은 지식들] (JSP) Model, ModelAndView 사용법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작성중)Exception처리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URL 인코딩 및 디코딩, 한글 인코딩, %인코딩 처리, Percent-encoding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hacker_rank] Bigger is Greater in a Grid with python3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Spring] Java Enum Type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 JPA ] @Converter @JsonConverter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java

    Read More
  • [JPA] @Embedded, @Embeddable VS @OneToOne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hacker_rank] Cut the Tree with python3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작성중)stack(스택), queue(큐), deque(덱)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큐(Queue)

    1. 선형 리스트의 한쪽에서는 삽입 작업이 이루어지고 다른 한쪽에서는 삭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자료 구조이다.
    2. 가장 먼저 삽입된 자료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선입선출(FIFO)방식으로 처리한다.
    3. 시작과 끝을 표시하는 두 개의 포인터가 있다.
    Read More
  • (작성중) [react study 5]javascript falsy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hacker_rank] Gena Playing Hanoi with python3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hacker_rank] Connected Cells in a Grid with python3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Null Safety 2편] Optional이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 글은 시리즈 물입니다. [Null Safety 1편] NPE(NullPointerException)란? 극복법은? @NotEmpty, @NotBlank, @NotNull 차이란? @Column(nullable = false)이란? @Nullable이란? https://joosjuliet.github.io/orm_jpa_hibernate/
    [Null Safety 2편] Optional이란? https://joosjuliet.github.io/optional/
    —

    Optional이란?

    값이 있거나 또는 없는 경우를 표현하기 위한 클래스 Optional는 “존재할 수도 있지만 안 할 수도 있는 객체”입니다.
    즉, “null이 될 수도 있는 객체”을 감싸고 있는 일종의 래퍼 클래스입니다.
    직접 다루기에 위험하고 까다로운 null을 담을 수 있는 특수한 그릇입니다.

    Read More
  • (작성중) Annotation(@Component와 @Repository, @Service, @Controller 차이)이란? Reflection이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1. Reflection이란?(작성중)

    • 리플렉션은 컴파일러를 무시하고, 런타임 상황에서 메모리에 올라간 클래스나 메서드등의 정의를 동적으로 찾아서 조작할 수 있는 일련의 행위이다.
    Read More
  • java8 stream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작성중) [react study 4]javascript falsy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hacker_rank] Minimum Loss with python3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hacker_rank] Count Luck with python3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hacker_rank] Connected Cells in a Grid with python3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프록시란? lazyloading이란?, fetch type - 로딩기법(lazy loading, eager loading)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getOne과 findOne차이?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작성중)facebook hackathon 후기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실리콘 밸리에서 페이스북이 주최하고 2019년 4월 28일-30일동안 진행한 hackathon 참여 후기입니다!

    Read More
  • react_study_3(default arrow function, async, spread function)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작성중] 서비스 개선 진행 과정 정리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서비스 개선 진행 과정

    Read More
  • [React] react 점심스터디 2일차 (promise, async await)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영속성(Persistence)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작성중)[ WebFlux 1탄 ] 사전지식( Non-Blocking, Asynchronous, Concurrency )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Null Safety 1편] NPE(NullPointerException)란? 극복법은? @NotEmpty, @NotBlank, @NotNull 차이란? @Column(nullable = false)이란? @Nullable이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 글은 시리즈 물입니다. [Null Safety 1편] NPE(NullPointerException)란? 극복법은? @NotEmpty, @NotBlank, @NotNull 차이란? @Column(nullable = false)이란? @Nullable이란? https://joosjuliet.github.io/orm_jpa_hibernate/
    [Null Safety 2편] Optional이란? https://joosjuliet.github.io/optional/
    —

    Read More
  • [React] react 점심스터디 1일차 (react-route, link, exact, NavLink, props)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MSA] 장애전파를 막는 circuit breaker, Fall-back messaging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작성중)ALPHA - Legacy 극복 프로젝트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f8] GraphQl : straight talk with the founders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AX && BoTorch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Travelyey] What is Travelyey

    Inspiration & User Story

    Read More
  • F8 후기(feat. 생존기)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꿀 같은 개발 블로그

    계속 계속 들어가고 싶은 개발 블로그를 몇개 정리해보려고 한다. 매번 노트북 메모장에 써놨는데 나만 알기 아깝다.

    Read More
  • (작성중)[legacy 환경설정으로 얻은 지식들] servlet이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legacy 환경설정으로 얻은 지식들] jsp이란?

    단점 : 패키징을 war로 해야한다.

    Read More
  • (작성중)[proxy 3편] Dynamic Proxy와 트랜잭션?(feat. Spring)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proxy 2편] Dynamic Proxy란?(feat. Spring)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react 정리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글또 2기 회고록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JPA]영속성 컨텍스트 (Persistance Context)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leet_code]Add Two Numbers with python3

    문제 : https://leetcode.com/problems/add-two-numbers/

    Read More
  • [작성중]JPA에는 aggregate나 sum, max,min같은 함수가 없나?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OLTP, Data Warehouse, Data Mart, OLAP 용어정리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WAS와 Web-server 2편]Appache와 Tomcat은 무슨관계인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1074] 1074번 : Z with python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074

    Read More
  • [legacy 환경설정으로 얻은 지식들] java를 컴파일 하기 위해서 변하는 파일포맷들, class파일이란, 컴파일러란?, JVM이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sort 시리즈 1탄] [merge sort] sort algorithm with python3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 컨텐츠는 시리즈물입니다.

    Read More
  • 브라우저에 네이버를 치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tech interview 6 편] SPRING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글은 tech interview를 볼 때 기본적으로 물어보는 것들을 정리하기 위해 쓴 글입니다. 깊이 보다는 compact 성을 강조합니다. — 이 글은 시리즈 물입니다.

    Read More
  • [java_oop_principle] Java에서 OOP컨셉 및 원리는 무엇이 있는가?(feat. 추상화, 다형성, 캡슐화, 상속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Hibernate에 대해서 제대로 알자!] 3탄 Hibernate가 어떻게 obejct를 만드는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 글은 시리즈 물이며, 해당 글은 번역글입니다.
    번역 출처는 : https://www.javatpoint.com/steps-to-create-first-hibernate-application 입니다.

    Read More
  • Spring MVC UriComponentsBuilder(서버단에서 쉽게 URI 만들기)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Hibernate에 대해서 제대로 알자!] 2탄 Hibernate의 구조를 알자!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 글은 시리즈 물입니다. [1탄 ORM이란? JPA란? Hibernate란?] https://joosjuliet.github.io/orm_jpa_hibernate/
    [2탄 Hibernate의 구조를 알자!] https://joosjuliet.github.io/hibernate_structure/
    [3탄 Hibernate가 어떻게 obejct를 만드는가?] https://joosjuliet.github.io/hibernate_first_step/

    Read More
  • [legacy 환경설정으로 얻은 지식들] DataSouce란?, JINDI란? JDBC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legacy 환경설정으로 얻은 지식들] Applet이란?, JAR파일이란?, WAR파일이란?, Artifact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Servlet이란? Servlet Container란? Maven이란? Tomcat이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Title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스트레티지 패턴(Strategy Pattern)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옵저버 패턴(Observer Pattern)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java_composition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alpha)[SpringBoot] json-jpa LocalDateTime serialize deserialize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hacker_rank] The Maximum Subarray with python3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elb vs ecs] 둘의 차이점과 공통점 무엇을 선택할 지 결정내릴 때 기준을 세워보기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JPA 용어정리] Entity Manager Factory, Entity Manager, EntityGraph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Entity Manager Factory

    • 싱글톤
    • 애플리케이션 전체에서 딱 한번 생성
    • 공유해서 사용
    • 비용 많다.
    • 여러 스레드간 동시 접근 안전하며, 공유 역시 된다.
    Read More
  • [hacker_rank] Fibonacci Modified with python3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hacker_rank] Sam and substrings with python3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git 정책, Rebase vs. Merge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작성중)[2편] DB에서의 트랜잭션( 제어어(TCL)[COMMIT, ROLLBACK, SAVEPOINT], mysql에서의 트랜잭션)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 글은 시리즈물 입니다.

    • [1편] 트랜잭션 (트랜잭션의 정의, 대상, ACID)
      • https://joosjuliet.github.io/transaction/
    • [2편] DB에서의 트랜잭션( 제어어(TCL)[COMMIT, ROLLBACK, SAVEPOINT], mysql에서의 트랜잭션)
      • https://joosjuliet.github.io/tcl/
    • [3편] SPRING에서의 트랜잭션(jpa에서 transaction이란)
      • https://joosjuliet.github.io/jpa_transaction/

    Read More
  • (작성중)[DB] 트랜잭션(2편. jpa에서 transaction이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Title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모든 관리 대상 엔티티에 대해 지속성 컨텍스트에는 엔티티 유형과 식별자가 모두 필요합니다. 따라서 부모 엔티티를로드 할 때 하위 식별자를 알아야하며 관련 post_details 기본 키를 찾는 유일한 방법은 보조 쿼리를 실행하는 것입니다.

    Read More
  • [DB] DDL, DML, DCL이란?(feat. DELETE, TRUNCATE, DROP의 차이)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Title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인스턴스의 생성과 사용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CORS(Cross-Origin-Resource Sharing)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hacker_rank] Service_Lane Solution with python3, java8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Builder Pattern(플라이급 패턴)이란?(feat. Java)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hacker_rank] Strong_Password with python3, java8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OS 4일차] Context Switching, user mode and kernel mode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tech interview 5 편] WEB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글은 tech interview를 볼 때 기본적으로 물어보는 것들을 정리하기 위해 쓴 글입니다. 깊이 보다는 compact 성을 강조합니다. 이것과 관련된 깊은 내용들은 정리하는 대로 url을 덧붙일 예정입니다.

    Read More
  • [WAS와 Web-server 1편]WAS와 웹서버란?(WAS 도입효과)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Factory Pattern(팩토리 패턴)이란?(feat. Java)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Builder Pattern(팩토리 패턴)이란?(feat. Java)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proxy 1편] Proxy Pattern(프록시 패턴)이란?(feat. Java)

    이 컨텐츠는 시리즈물입니다.
    [proxy 1편] Proxy Pattern(프록시 패턴)이란?(feat. Java): https://joosjuliet.github.io/proxy_pattern/
    [proxy 2편] Dynamic Proxy란?(feat. Spring):
    https://joosjuliet.github.io/dynamic_proxy/ [proxy 3편] Dynamic Proxy와 트랜잭션?(feat. Spring): https://joosjuliet.github.io/transaction/

    Read More
  • Flyweight Pattern(플라이웨이트 패턴)이란?(feat. Java)

    success

    Read More
  • Singleton Pattern(싱글톤 패턴)이란?(feat. Java)

    singleton패턴

    인스턴스가 사용될 때에 똑같은 인스턴스를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동일 인스턴스를 사용하게끔 하는 것이 기본 전략

    Read More
  • [db index 3편] index structure의 종류와 선정 지침 (인덱스 선정 지침이란?, 인덱스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는?, query tuning을 위한 추가 지침)

    이 컨텐츠는 시리즈물입니다.
    [db index 1편] index 란?: https://joosjuliet.github.io/index/
    [db index 2편] index structure란?:
    https://joosjuliet.github.io/index_structure/
    [db index 3편] index structure의 종류와 선정 지침
    https://joosjuliet.github.io/index_guidline/

    Read More
  • [Spring] IoC(Inversion of Control) 컨테이너와 빈

    (소개와 이해를 중심) 학습 목표:

    •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핵심 기술 IoC, AOP, PSA를 이해합니다.
    • 스프링 프레임워크 IoC 컨테이너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방법으로 빈을 정의하고 의존 관계를 주입할 수 있습니다.
    Read More
  • [hacker_rank]Cut the sticks with python3, Java8

    https://www.hackerrank.com/challenges/cut-the-sticks/problem

    Read More
  • [hacker_rank]Palindrome Index with python3, Java8

    https://www.hackerrank.com/challenges/palindrome-index/problem

    Read More
  • [Hibernate에 대해서 제대로 알자!] 1탄 ORM이란? JPA란? Hibernate란?

    이 글은 시리즈 물입니다. [1탄 ORM이란? JPA란? Hibernate란?] https://joosjuliet.github.io/orm_jpa_hibernate/
    [2탄 Hibernate의 구조를 알자!] https://joosjuliet.github.io/hibernate_structure/
    [3탄 Hibernate가 어떻게 obejct를 만드는가?] https://joosjuliet.github.io/hibernate_first_step/

    Read More
  • JPA에서 Entity란?(feat. pojo)

    Entity란

    • JPA entity class는 POJO(Plain Old Java Object)이다.
    • 데이터베이스에있는 객체를 나타내는 능력을 가진 것으로 annotated된 일반 자바 클래스.
    • JPA를 사용한 database에서 특정 object를 저장하기 위해서 우리는 entity class를 저장해야한다.
    • 개념적으로 이는 serialize class와 비슷하며, serialize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Read More
  • (작성중)[object_oriented_programming 0.5편] solid란?(단일 책임 원칙, 개방 - 폐쇄 원칙, 리스코프 치환 법칙,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의존성 역전 법칙) 그리고 의존성 주입이란?

    단일책임원칙

    • 모든 클래스는 단 하나의 역할만 가진다.
    Read More
  • 쿠버네티스란? 도커와의 관계는? 도커 와 쿠버네티스의 차이? 도커와 쿠버네티스를 비교? 쿠버네티스 vs 도커 컴포즈?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서로에 대한 존중을 담은 덧글을 남겨 소통을 하신다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존중이 담기지 않은 덧글은 언제든 삭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글을 쓴 이유

    빠르게 인기를 끌고 있는 쿠버네티스는 아직 실무에서 한번도 써본 적은 없지만 그래도 다시 한번 글을 다듬어 보려고 한다. 대충이라도 계속 정리를 업데이트를 한다면 나중에 퀄리티 있는 글을 쓰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

    Read More
  • (작성중)REST란? rest api? http api?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ad More
  • 클린 코더 (단순 기술자에서 진정한 소프트웨어 장인이 되기까지) 요약 및 감상문

    1. 책을 읽게 된 이유

    이번에 회사를 이직했는데… 무려 내 컴이 안왔다ㅋㅋㅋㅋㅋㅋ 근처에 계신 (무려) 과장님께서 노트북을 빌려주셨지만… 남의 컴을 쓰려니까 아무것도 못하겠더라

    Read More
  • (작성중)30만 user를 위한 서버 스케일링 방법

    fake it til you make it 과연 ? 이라고 생각한다. 모두가 자신의 성장곡선을 정확히 모른다. 다 추정을 하는 것 뿐이다. 그래서 난 확정된 단어를 주고 싶지 않다.

    Read More
  • (작성중)2019년 상반기 회고 및 하반기 계획

    1월에 이룬것

    • os글 꾸준히 잘 쓰고 있다.
      • 나름 글을 잘 쓰고 있는지 블로그 오는 사람도 늘고 있닼ㅋㅋㅋ
    • Linked-In에 커리어를 더 깔끔히 작성을 했다.
    • blog에 about도 더 깔끔히 작성 한 것 같다.
    • 쉐도잉과 스쿼트는 어느정도 습관이 잡혔다.(이대로만 가다오)
    • 벌써 경도비만 획득! 개이득이다.. 진짜 유지만 하잨ㅋㅋㅋ
    • 다이어리랑 식단일기를 잘 쓰고 있다.(장하다 나자신 ㅠㅠ)
    Read More
  • [OS 3일차] Linux Run-time Memory Image, Concurrent Processes, Parallel Process, Context Switching, user mode and kernel mode란

    Linux Run-time Memory Image

    memory image

    Read More
  • Title

    커널 역시 program이니까 process가 있다.

    Read More
  • [db index 2편] index structure의 종류 (cluster index, non-cluster index, Hash Index, B Tree, B+ Tree, Fractal-Tree, Adaptive Hash Index)

    이 컨텐츠는 시리즈물입니다.
    [db index 1편] index 란?: https://joosjuliet.github.io/index/
    [db index 2편] index structure란?:
    https://joosjuliet.github.io/index_structure/
    [db index 3편] index structure의 종류와 선정 지침
    https://joosjuliet.github.io/index_guidline/

    Read More
  • [db index 1편] index 란? (single level index, dense index, sparse index, composite index, multilevel index )

    이 컨텐츠는 시리즈물입니다.
    [db index 1편] index 란?: https://joosjuliet.github.io/index/
    [db index 2편] index structure란?:
    https://joosjuliet.github.io/index_structure/
    [db index 3편] index structure의 종류와 선정 지침
    https://joosjuliet.github.io/index_guidline/

    Read More
  • [OS 2일차] 실행파일, process, multiprogramming, Virtual Memory, virtual address spaces, Life, Scope, variable, local variable, static variable, static local variable

    실행파일이란? (컴퓨터공학)

    스크립트나 바이트 코드로 데이터와 코드화된 명령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이진 파일

    Read More
  • (작성중) [javascript] js는 single thread?

    작성중입니다. 틀린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Read More
  • (작성중) [python] GIL(Global Interpreter Lock)이란?

    일단 python에서 왜 gil을 쓰고 있는 걸까요? 무엇이 장점이고 단점일까요? 멀티 스레드를 써도 싱글 스레드 효과가 나는데 그렇다면 왜 멀티스레드를 사용할 수 있는 코드가 있을까요? python에서 사용하는 멀티 프로세스는 어느정도 성능 향상이 있을까요?

    Read More
  • [보안] 대칭키와 비대칭키, 그리고 하이브리드 키(feat. 맨 인 더 미들)

    대칭키

    암호화가 가능한 Key와 복호화가 가능한 Key가 동일하다 대표적인 Key) AES & DES

    Read More
  • https의 개념

    DB 스토리지 엔진 : 물리적 저장장치에서 데이터를 읽어오는 역할을 담당.

    Read More
  • Http_vs_https

    Read More
  • http의 개념(keep-alive, connectless, 응답 헤더, 요청 헤더)

    https를 알기 앞서 http를 먼저 설명 고!

    Read More
  • 2019년 상반기 계획

    앞으로 나아갈 미래를 생각하며 설레하는 것을 좋아해 2019년 상반기 계획 글을 쓰기로 했습니다!

    Read More
  • (작성중)[hacker_rank] Maximum Palindromes with python3

    문제 : https://www.hackerrank.com/challenges/maximum-palindromes/problem

    Read More
  • [hacker_rank]Highest Value Palindrome with python3

    문제 : https://www.hackerrank.com/challenges/richie-rich/problem

    Read More
  • [two scoop of django] 10장 클래스 기반 뷰의 모범적인 이용

    10장 클래스 기반 뷰의 모범적인 이용

    Read More
  • [two scoop of django] 8장 함수 기반 뷰와 클래스 기반 뷰

    8장 함수 기반 뷰와 클래스 기반 뷰

    Read More
  • 1225. [S/W 문제해결 기본] 7일차 - 암호생성기

    문제: https://www.swexpertacademy.com/main/code/problem/problemDetail.do?contestProbId=AV14uWl6AF0CFAYD&categoryId=AV14uWl6AF0CFAYD&categoryType=CODE

    Read More
  • 1213. [S/W 문제해결 기본] 3일차 - String

    문제: https://swexpertacademy.com/main/code/problem/problemDetail.do?contestProbId=AV14P0c6AAUCFAYi

    Read More
  • 1204. [S/W 문제해결 기본] 1일차 - 최빈수 구하기

    문제: https://www.swexpertacademy.com/main/code/problem/problemDetail.do?contestProbId=AV13zo1KAAACFAYh&categoryId=AV13zo1KAAACFAYh&categoryType=CODE

    Read More
  • [장고 시작하기 1편] 파이선부터 장고까지 기본 환경설정

    [모든 것은 mac, python3기준입니다]

    Read More
  • [ django ]__repr__ vs __str__

    장고로 개발을 하며 model 뚱땡이를 만들던 중 str과 repr이 거의 비슷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__str__을 써야하나 ? __repr__를 써야하나? 고민에 빠지게 되어 한번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Read More
  • [object_oriented_programming 3편] 상속, 서브 클래스 feat.python

    상속과 서브 클래스

    상속이란

    한 번 정의한 데이터 타입을 필요에 따라서 수정을 하고 다시 재활용해서 반복되는 코드를 줄이고자 하는 목적

    Read More
  • [object_oriented_programming 2편] 클래스 변수 와 클래스 메소드, 스태틱 메소드 feat.python

    object_oriented_programming_with_python

    Read More
  • [object_oriented_programming 0편] 객체 지향이란?

    이글을 쓴 이유

    object_oriented_programming 에 요즘 관심이 있어서 계속 공부를 하고 있는데 그러다가 개념 정리를 좀 더 깔끔히 하고 싶어져서 글을 썼습니다.

    Read More
  • [백준] 1753번 : 최단경로 with java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753

    Read More
  • [object_oriented_programming 1편] python 객체 속의 함수 feat.python

    object_oriented_programming_with_python

    Read More
  • [Network 2일차] tcp udp (layer 4)

    계층 3의 프로토콜은 ICMP, IGMP, IP 등이 있지만, ICMP와 IGMP 프로토콜은 모두 IP를 도와주는 프로토콜이므로 계층 3을 대표하는 프로토콜은 IP이다. 계층 4에서의 대표적인 프로토콜 2개에는 TCP와 UDP가 있다. 이제 TCP, UDP에 대해서 알아보자.

    Read More
  • Naive_Bayes_Classification

    1. 글을 쓴 이유

    친구의 데이터마이닝 수업의 기말고사를 도와주는 도중 나이브 베이즈 분류를 자세히 설명해야할 상황이 와서 설명하다가 글을 쓰게 되었다.

    Read More
  • [Network 3일차] Internetworking (layer 3)

    계층 3 - Internet

    internetworking

    Read More
  • [Network 1일차] ip란 무엇인가 (layer 3)

    IP / Internet Addressing

    Read More
  • [tech interview 4 편] Operating System

    이글은 tech interview를 볼 때 기본적으로 물어보는 것들을 정리하기 위해 쓴 글입니다. 깊이 보다는 compact 성을 강조합니다. — 이 글은 시리즈 물입니다.

    Read More
  • [tech interview 3 편] Network

    이글은 tech interview를 볼 때 기본적으로 물어보는 것들을 정리하기 위해 쓴 글입니다. 깊이 보다는 compact 성을 강조합니다. — 이 글은 시리즈 물입니다.

    Read More
  • [OS 1일차] 다양한 운영체제 ( feat. Batch System, Multiprogrammed system, Multiprocessing system, Real time system,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

    Operating System이 주로 하는 일

    • Task management (스케줄링)
    • Memory management
    • Resource control
    • Intertask communications and synchronization
    Read More
  • [백준] 2448번 : 별 찍기 - 11 with java8

    후 이제 이 포스팅 이후로는 java는 (최대한) java8로 풀 예정이다.

    Read More
  • [백준] 2447번 : 별 찍기 - 10 with java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447

    Read More
  • 1244. [S/W 문제해결 응용] 2일차 - 최대 상금

    문제: https://www.swexpertacademy.com/main/code/problem/problemDetail.do

    Read More
  • [백준] 1992번 : 쿼드트리 with java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992

    Read More
  • [hacker_rank]Sherlock and the Valid String with python3

    문제 : https://www.hackerrank.com/challenges/sherlock-and-valid-string/problem

    Read More
  • [google codejam kickstart] 2018 ground g solution with python

    새로 만든 tag인 kickstart 첫 글! 계속 꾸준히 kickstart 참여중이다

    Read More
  • [백준] 6549번 : 히스토그램에서 가장 큰 직사각형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6549

    Read More
  • 1206. [S/W 문제해결 기본] 1일차 - View

    문제: https://www.swexpertacademy.com/main/code/problem/problemDetail.do

    Read More
  • [백준] 3015번 : 오아시스 재결합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3015

    Read More
  • [hacker_rank] Extra Long Factorials with python3

    문제 : https://www.hackerrank.com/challenges/extra-long-factorials/problem

    Read More
  • [백준] 2263번 : 트리의 순회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263

    Read More
  • [백준] 1780번 : 종이의 개수 with python3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780

    Read More
  • [백준] 9466번 : 텀 프로젝트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9466

    Read More
  • [글또] 글또 2기 다짐글

    저번 기수를 시작할 때, 끝낼 때 그냥 계속 꾸준히 쓴 게 어디야 라는 생각을 하고 얻은 것을 잘 몰랐는데. 1기에 대한 자아 성찰은 2기 시작할 때 더 명확히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2기 다짐 글이자 1기 성찰 글을 쓰기로 했다.

    Read More
  • [백준] 2331번 : 반복수열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331

    Read More
  • [백준] 11728번 : 배열 합치기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728

    Read More
  • [백준] 10816번 : 숫자 카드2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0816

    Read More
  • [백준] 10815번 : 숫자 카드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0815

    Read More
  • [hacker_rank] Java Strings Introduction with java

    문제: https://www.hackerrank.com/challenges/java-strings-introduction/problem

    Read More
  • [hacker_rank] Java String Compare with java

    문제: https://www.hackerrank.com/challenges/java-string-compare/problem

    Read More
  • [백준] 1260번 : DFS와 BFS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260

    Read More
  • [tech interview 2 편] JAVA

    이글은 tech interview를 볼 때 기본적으로 물어보는 것들을 정리하기 위해 쓴 글입니다. 깊이 보다는 compact 성을 강조합니다. — 이 글은 시리즈 물입니다.

    Read More
  • [백준] 2294번 : 동전 2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294

    Read More
  • [백준] 1377번 : 버블 소트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377

    Read More
  • [sort 시리즈 intro][ 작성중 ] sorting algorithm (with. python3)

    이 컨텐츠는 시리즈물입니다.

    Read More
  • [tech interview 1 편] DB

    이글은 tech interview를 볼 때 기본적으로 물어보는 것들을 정리하기 위해 쓴 글입니다. 깊이 보다는 compact 성을 강조합니다. — 이 글은 시리즈 물입니다.

    Read More
  • [백준] 1509번 : 팰린드롬 분할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509

    Read More
  • [백준] 11004번 : k번째 수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004

    Read More
  • [백준] 11652번 : 카드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652

    Read More
  • [백준] 10989번 : 수 정렬하기 3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0989

    Read More
  • [백준] 10942번 : 팰린드롬?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0942

    Read More
  • [백준] 10825번 : 국영수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0825

    Read More
  • [sort 시리즈 번외편](작성중) [python] python의 기본 sort tim_sort란!

    이 컨텐츠는 시리즈물입니다.

    Read More
  • [백준] 1890번 : 점프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890

    Read More
  • [백준] 10814번 : 나이순 정렬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0814

    Read More
  • [백준] 11651번 : 좌표 정렬하기2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651

    Read More
  • [백준] 11650번 : 좌표 정렬하기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650

    Read More
  • [백준] 11048번 : 이동하기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048

    Read More
  • [hacker_rank] Climbing the Leaderboard with python3

    문제: https://www.hackerrank.com/challenges/climbing-the-leaderboard/problem

    Read More
  • [백준] 7576번 : 토마토 with java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7576

    Read More
  • [백준] 2146번 : 다리 만들기 with java,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146

    Read More
  • [백준] 2178번 : 미로 탐색 with python3, java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178

    Read More
  • [백준] 4963번 : 섬의 개수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4963

    Read More
  • [백준] 6588번 : 골드바흐의 추측 with python3, java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6588

    Read More
  • [백준] 2667번 : 단지번호붙이기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667

    Read More
  • [백준] 2004번 : 조합 0의 개수 with python3, go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004

    Read More
  • [백준] 1676번 : 팩토리얼 0의 개수 with python3, go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676 ``` python

    Read More
  • [백준] 11653번 : 소인수 분해 with python3, java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653

    Read More
  • [백준] 10872번 : 팩토리얼 with python3, java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0872

    Read More
  • [백준] 1978번 : 소수찾기 with python3, java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978

    Read More
  • [백준] 1929번 : 소수 구하기 with python3, go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929

    Read More
  • [백준] 11576번 : Base Conversion with python3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1576

    Read More
  • python operations time complexity

    lists

    Read More
  • 2의 보수, 1의 보수

    1의 보수, 2의 보수

    Read More
  • [백준] 2089번 : -2진수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089

    Read More
  • [ 작성중 ] regular_expression (feat. python)

    Read More
  • [hacker_rank] Java BigDecimal with Java

    ``` JAVA import java.math.BigDecimal;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Read More
  • [ 작성중 ] 부동소수점 (with. python3, java)

    불행히도, 대부분의 십진 소수는 정확하게 이진 소수로 표현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일반적으로 입력하는 십진 부동 소수점 숫자가 실제로 기계에 저장될 때는 이진 부동 소수점 수로 근사 될 뿐이다.

    Read More
  • [ 작성중 ] 알고리즘 풀 때 팁 (feat. java)

    제곱

    3의 제곱 (3의 2승) 구하기

    System.out.println( Math.pow(3, 2) );
    

    출력 결과: 9.0 함수의 입출력이 모두, 실수형인 double형입니다. 따라서 정수의 결과값을 구하려면, 정수로 변환해 주어야 합니다.

    Read More
  • [백준] 1373번 : 2진수 8진수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373

    Read More
  • [백준] 1212번 : 8진수 2진수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212

    Read More
  • [hacker_rank] The Power Sum with python3

    문제: https://www.hackerrank.com/challenges/the-power-sum/problem

    Read More
  • [hacker_rank] Sherlock and Anagrams with python3

    문제: https://www.hackerrank.com/challenges/sherlock-and-anagrams/problem

    Read More
  • [백준] 1707번 : 이분 그래프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707

    Read More
  • [백준] 10451번 : 순열 사이클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0451

    Read More
  • [백준] 2745번 : 진법 변환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745

    Read More
  • [백준] 11005번 : 진법 변환 2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005

    Read More
  • [백준] 10430번 : 나머지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0430

    Read More
  • [백준] 2011번 : 암호코드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011

    Read More
  • [백준] 2293번 : 동전 1 with python3

    https://www.acmicpc.net/problem/2293

    Read More
  • [백준] 2225번 : 합분해 with python3

    https://www.acmicpc.net/problem/2225

    Read More
  • [백준] 11724번 : 연결 요소의 개수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724

    Read More
  • [hacker_rank] Anagram with python3, java

    문제: https://www.hackerrank.com/challenges/anagram/problem

    Read More
  • [hacker_rank] Queen's Attack II with python3

    문제: https://www.hackerrank.com/challenges/queens-attack-2/problem

    Read More
  • [백준] 9461번 : 파도반 수열 판매하기 with python3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9461

    Read More
  • [hacker_rank] Forming a Magic Square with python3

    문제: https://www.hackerrank.com/challenges/magic-square-forming/problem

    Read More
  • [hacker_rank] Encryption with python3

    문제 : https://www.hackerrank.com/challenges/encryption/problem

    Read More
  • [백준] 2133번 : 타일 채우기 with python3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133

    Read More
  • [hacker_rank] Picking Numbers with python3

    문제 : https://www.hackerrank.com/challenges/picking-numbers/problem

    Read More
  • [백준] 1699번 : 제곱수의 합 with python3

    문제 url :

    https://www.acmicpc.net/problem/1699

    Read More
  • [백준] 2579번 : 계단 오르기 with python3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2579

    Read More
  • (작성중)[DataStructure] max_heap by python3

    ``` python import sys

    Read More
  • [백준] 1991번 : 트리 순회 with python3

    https://www.acmicpc.net/problem/1991

    Read More
  • [백준] 1912번 : 연속합 with python3

    https://www.acmicpc.net/problem/1912

    Read More
  • [백준] 11279번 : 최대 힙 with python3

    https://www.acmicpc.net/problem/11279

    Read More
  • [DataStructure] binary_search_tree(이진탐색트리) by python3

    이진 트리란?

    이진 트리 (binary tree)는 최대 두 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는 트리 형태의 자료구조로서, 효율적인 탐색 혹은 정렬을 위해 주로 사용된다.
    균형 트리의 시간복잡도는 삽입, 찾기, 삭제 모두 기본적으로 O(logn) 이다.
    최악의 시간복잡도는 O(n) 인 데, 트리가 한쪽으로 치우쳐져 있을 때 원하는 것을 찾기 위해 전부 탐색을 해야 하기에 그렇다.

    Read More
  • [백준] 9465번 : 스티커 with python3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9465

    Read More
  • [백준] 2156번 : 포도주 시식 with python3

    https://www.acmicpc.net/problem/2156

    Read More
  • (작성중) [재귀 함수 사용할 때 주의할 것] Tail_Recursion_Optimize

    재귀적 수행 시간 구하기

    Read More
  • [백준] 11722번 : 가장 긴 감소하는 부분 수열 with python3, cpp

    https://www.acmicpc.net/problem/11722

    Read More
  • [백준] 11055번 : 가장 큰 증가 부분 수열 with python3, cpp

    https://www.acmicpc.net/problem/11055

    Read More
  • [백준] 11054번 : 가장 긴 바이토닉 부분 수열 with python3, cpp

    https://www.acmicpc.net/problem/11054

    Read More
  • [백준] 11723번 : 집합 with python3

    https://www.acmicpc.net/problem/11723

    Read More
  • [백준] 11052번 : 붕어빵 판매하기 with python3

    https://www.acmicpc.net/problem/11726

    Read More
  • [백준] 9095번 : 1, 2, 3 더하기 with python, java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9095

    Read More
  • [백준] 11727번 : 2×n 타일링 2 with python3, java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1727

    Read More
  • 비트란 무엇인가? [ 비트연산(Bitwise operation), 비트마스크(Bitmask) ]

    비트

    비트는 0이나 1의 값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은 참, 거짓 혹은 서로 배타적인 상태를 나타낸다.

    Read More
  • [백준] 11726번 : 2×n 타일링 with python3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1726

    Read More
  • [백준] 11053번 :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with python3, cpp

    푸는 방법

    1. aa에 있는 원소들을 전부 다 돈다.
    2. dd는 해당 index까지의 숫자들 중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의 길이를 저장한다.
    3. i는 처음부터 i 까지 앞에 있는 모든 숫자들과 비교를 한다.
    4. 만약 j보다 i가 큰 데, 부분수열의 길이가 만약에 j가 크면 dd[j]에 1을 더해서 i번째에 넣는다.
    5. 전에 있던 값과 대소비교를 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는 어차피 작은 값들은 뒤에 큰 값에 경우의 수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6. dd의 값 중 가장 값을 답으로 한다.
    Read More
  • [two scoop of django] 9장 함수기반뷰의모범적인이용

    9장 함수기반뷰의모범적인이용

    Read More
  • [two scoop of django] 7장 쿼리와 데이터베이스 레이어

    7장 쿼리와 데이터베이스 레이어

    Read More
  • [백준] 1463번 : 1로 만들기 with python3, java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463

    Read More
  • [백준] 1158번 : 조세퍼스문제 with cpp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158

    Read More
  • [백준] 2110번 : 공유기 설치 with python3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2110

    Read More
  • [백준] 2805번 : 나무자르기 with python3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2805

    Read More
  • [백준] 1406번 : 에디터 with python3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406

    Read More
  • [백준] 10828번 : 스택 with python3

    ``` python N = int(input()) stack = []

    Read More
  • [백준] 2193번 : 이친수 with python3, cpp

    방법 1

    ``` python N = int(input()) D = [0] * (N + 1)

    Read More
  • [백준] 11057번 : 오르막 수 with python3, cpp

    풀이

    • D에 일단 길이가 1일 때의 값들을 저장한다.
    • 11057
      첫루프 때는 초록색
      두번째 루프때는 파란색
      세번째 루프때는 주황색으로 더해지는 것이다.
        for j in range(0,10):
        D[i][j] = sum(D[i-1][:j+1])
            # -> 0은 매번 다음곳에 더해지고
            # -> 1은 두번째부터 다 더해지고
      
    Read More
  • [백준] 10844번 : 쉬운 계단 수 with python3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0844

    Read More
  • [ 작성중 ] 알고리즘 풀 때 팁 (feat. python)

    #lru_cache

    from functools import lru_cache
    @lru_cache(None)
    def fib(n):
        if n < 2:
            return n
        return fib(n-1) + fib(n-2)
    print(fib(15))
    
    Read More
  • [백준] 11052번 : 붕어빵 판매하기 with python3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1052

    Read More
  •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

    제 블로그의 모든 글은 IMHO로 쓴 것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을 통해서 소통을 하면 더 좋은 글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소통을 할 때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는 선에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ad More
  •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

    이글을 쓴 이유

    Read More